JAVA/자료구조 (2) 썸네일형 리스트형 JWT (JSON Web Token) JWT (JSON Web Token)JWT는 토큰 기반 인증 방식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인증 정보를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한 표준입니다. 주로 무상태(stateless) 방식의 인증을 지원하며, 확장성과 보안성을 동시에 보장하는 특징이 있습니다.JWT 구조JWT는 세 부분으로 구성된 문자열입니다:헤더(Header): 어떤 알고리즘이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정보(JWT 타입, 서명 알고리즘)를 포함.페이로드(Payload): 토큰에 담길 사용자 정보나 **클레임(Claims)**을 포함. 클레임은 유저 아이디, 권한 정보 등 인증과 관련된 데이터를 나타냅니다.서명(Signature): 헤더와 페이로드를 비밀 키로 서명하여, 데이터의 무결성과 신뢰성을 보장.이 세 가지가 결합되어 Base64로 인코딩된 문.. 해시(Hash) 란? 해시(Hash) 자료구조는 저장 및 검색에서 매우 효율적으로 활용되며, 그 정확한 구현 방식에 따라 다양한 용도와 성능 차이를 보인다.해시 함수는 데이터에 대한 특정 값을 추출해 활용하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 블록체인, 메시지 인증 코드 등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해시(Hash)입력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값이 해시 값(Hash value) 혹은 해시 코드라고 불린다. 해시 함수를 통해 데이터의 키 값을 변환하여 얻은 정수 값은 배열의 인덱스로 사용되며, 이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검색할 수 있다. 1. 자료구조의 특징키(key)와 데이터(value)를 매핑: 해시는 키를 데이터에 연결하는 구조이다.해시 함수를 통해 키의 데이터에 맞는 배열의 주소(인덱스)를 계산한.. 이전 1 다음